제사의 종류
  제사의 의미
  각 종류 의제찬도
  제기와 제구
  지방 만드는법
  축문 쓰는법
  현대식 제례
  전통식 제례순서
 
 
양/음력 달력
20255
Sun Mon Tue Wed Thu Fri Sat
-
-
-
-
1
4/4
2
4/5
3
4/6
4
4/7
5
4/8
6
4/9
7
4/10
8
4/11
9
4/12
10
4/13
11
4/14
12
4/15
13
4/16
14
4/17
15
4/18
16
4/19
17
4/20
18
4/21
19
4/22
20
4/23
21
4/24
22
4/25
23
4/26
24
4/27
25
4/28
26
4/29
27
5/1
28
5/2
29
5/3
30
5/4
31
5/5
-
-
 
 
 
: 제사정보 : 제기와 제구  
 
 
제사 때 사용하는 여러가지 제기오 제구는 평소에 일정한 곳에 모두 모아 두었다가 제사전날
꺼내 깨끗이 닦아 쓰도록 한다.
     제수를 진열해 놓는 상      신주나 혼백함을 올려 놓는 의자
향로와 향합을 올려놓는 작은 상
(향을 피우는 작은 화로)
     두 개를 준비한다.
     신주를 모시어두는 나무 궤 죽은사람의 위패. 고인위 위를 모시는 나무패로서 대개 밤나무로 만든다. 길이는 약 24cm, 너비 약6cm정도
     향을 담는 그릇      고기를 담는제기. 나무로 만들고 발이 달렸다.
     윗판은 직사각형
     모래와 띄의 묶음인 모사를 담는 그릇으로 보시기와
     같이 생겼다.
     떡을 담는 제기
      퇴주그릇 : 헌작한 술을 물리 때 따라 붓는 그릇
     주배 : 술잔. 잔받침이 반드시 있어야함
     주주 : 술 주전자
     탕기 : 국을 담는 제기
     시접 : 수저를 올려 놓는 제기
      적을 올리는 제기 나무로 만들고 발이 달렸다.      실과와 건육을 담는 제기 원래 대나무로 굽을 높게
     엮어서 만들었다.
      글씨로 된 병풍으로 준비하여 제상 뒤에 친다.      두 장을 준히하여 하나는 제상 밑에 깔고, 다른 하나는       제상 앞에 깐다.
 
      축문을 올려 놓는 판